2012/05/06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스토커


영화의 마지막 쇼트. 탁자위에 3개의 컵이 놓여있고 스토커의 딸이 속으로 시를 읊조린다. 영화 중간에 뜬금없이 나오던 요한계시록 나레이션의 목소리의 주인공이 바로 그녀였음이 드러난다. 지상과 맞닿는 다리가 없고 스토커가 신을 숭배하듯 어깨위에 앉혀다니는 그녀가 탁자위를 응시한다. 컵이란 무언가를 담기 위한 그릇. 그것을 지켜보는 초월적 존재.

컵은 아마도 인간에 대한 은유일 것이다. 3개의 컵이니 당연히 영화의 주인공들인  작가, 교수, 스토커를 떠올린다. 술이 담긴 컵은 존재의 무의미에 압도당해 삶의 낙이라곤 술밖에 남지않은 '작가'를, 뭔가 알수없는 쓰레기가 담긴 컵은 세상을 바꾸고 싶지만 쓸모없는 잡동사니 밖에 만들지 못하는 과학자들을 대표하는 '교수'를, 마지막 빈컵은 머리를 비우고 믿음으로 살아가는 스토커를 생각나게 한다.

그녀가 컵을 하나씩 노려볼때마다 컵이 움직이기 시작한다. 탁자의 경계 너머로 컵을 밀어내려는듯 한데 뭔가가 담긴 컵들은 무게 때문인지 가다가 멈추고 빈컵만이 탁자를 벗어난다. 그리고 점점 커지는 기차의 소음과 진동에 탁자 전체가 흔들리기 시작한다. 기계문명의 상징인 기차의 소음은 마치 전쟁의 총소리처럼 무시무시하다. 초월적 존재는 이것으로부터 컵을 구하려 했던 것이다. 뜬금없던 요한계시록의 나레이션이 설명된다.

이 철저하게 계산된 미장센을 통해 타르코프스키는 신으로부터 구원받는 유일한 방법은 이성을 버리고 믿음으로 살아가는것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그런데 이걸 알아먹으려면 먼저 이성적 사고가 필요하다는 모순이 생겨난다. 컵을 비우기 위해서는 먼저 컵을 한가득 채워야 하는 것이다. 스토커의 집 한쪽 벽면이 책으로 빼곡히 차있는 장면을 통해 이 스토커라는 인간도 한때는 뭔가를 잔뜩 채워넣던 컵이었음이 드러난다. 영화에서 여러번 나오듯이 바로 눈앞에 보이는 곳을 곧장 질러갈수가 없는 것이다. 때로는 우회하고 심지어 반대로 가는길이 목적지에 도달하는 길이다. 그래서 모든 삽질은 무의미한게 아니다. 결국 삽질이 우리를 인도하리라.

게임 '스토커:체르노빌의 그림자'가 타르코프스키의 스토커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기에 본 영화였는데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세지는 그 게임과는 별 상관이 없었다. 그건 영화를 보기전부터 어느정도 예상하던 바였지만 이 영화가 무척 게임에 어울리는 주제를 가졌다는걸 알게됐다는건 의외의 수확이었다.

게임이란 이성을 적극적으로 사용해야하는 매체이다.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길을 예상하고 실행하며 즐거움을 얻는다. 그런데 이성에 반하는 게임을 만든다면? 논리적이고 효율적으로 보이는 길을 택하면 엔딩으로부터 멀어지고 반대로 비이성적인 행위가 엔딩에 이르게 하는 구조를 만들어내고 그것으로 믿음과 구원에 대해 이야기 한다면 게임을 이용해서 게임의 근본을 부정하는 모순성이 주제를 완벽하게 뒷받침하는 모습이 될것이다. 플레이어는 수많은 삽질을 통해 컵에는 물을 채워야 하는게 아니라 비워야 하는것임을 자신의 행위에 대한 결과로 스스로 깨닫는것이다!  미장센을 분석해서 얻는 깨달음보다 훨씬 강렬하지 않을까?

댓글 18개:

  1. 인디에는 전복적인 시도가 적지 않더군요. 가령, 제이슨 로러란 개발자가 만든 Passage는 굉장히 단순하지만 그 자체로는 많은 사람들에게 인상을 주기에 충분했구요. (단순했기 때문에 그럴 수 있었을지도 모르겠네요.)

    근데 아직까진 복합적이고 규모가 어느 정도 있으면서 전복적인 게임은 찾기가 어렵더라고요. 작은 게임에선 구조가 전복적인 게임을 만들던 인디 개발자들도 어느 정도 규모가 있거나 실제로 판매하는 게임을 만들게 될 때는 그 전복성이 소재 선정이나 결말 같은 일부로만 제약되는 경우가 많더군요.

    물론 해석의 차원에선 마인크래프트 같이 개발자가 의도하지 않는대도 인류가 지닌 잉여력의 위대함을 느낄 수 있는 게 게임이지만요 ㅎㅎㅎ

    답글삭제
  2. 익명 / 인디게임을 많이 해보지는 않았지만 그런 전복적인 시도 자체가 목적이 되는 경우가 있어서 실망스러울때가 있더라구요. 그것도 나쁘지 않다고 보지만 전복적인 시도가 전복적인 시도로 보이지 않을만큼 자연스럽게 녹아든 게임을 보고싶습니다. Passage라는 게임은 한번 찾아서 해봐야겠네요.ㅎㅎ

    답글삭제
  3. 영화도 많이 좋아하시나보네요.

    타르코프스키 영화는 브레송의 초기 영화들과 공통된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는데 저는 별로 좋아하지 않네요. 개인의 취향이지만 브레송의 후기 영화가 주는 한줌 희망 없는 분위기가 더 좋아서요.

    스토커는 타르코프스키 본인이 실패작이라고 했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작가들의 실패작이 범인들의 성공작보다 더 볼만하니 상관은 없지만요.

    타르코프스키하면 영화관에서 노스텔지아 보다가 한숨 푹 자고 일어난 기억이 생생합니다..

    답글삭제
  4. 네민 / 저도 타르코프스키 영화는 별로 안좋아합니다. 좋아하고 싶은데 안되더라구요. 도시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의 오염된 감성으로는 완전히 공감하기에 한계가 있는거 같아요. 큐브릭처럼 차갑고 냉소적인 영화를 좋아합니다.ㅠㅠ

    브레송의 영화는 머니 한편만 봤었는데 너무간결하고 반복적이어서 무슨 최면걸리는 느낌이더군요.ㅋㅋ

    답글삭제
  5. 스토커 게임 얘기나와서 하는말이지만 참 아쉬운게임이네요... 초창기때는 거의 다됬다가 무슨이유로 몇년동안씩이나 발매연기를 하고 드디어 발매했다 했는데 심각한 버그에 썩 좋지않은 게임성. 실망을 엄청 했었지만 그래도 게임의 암울한 분위기가 무한한 가능성이 돋보였는데 핵심개발진들은 퇴출되고 퍼블리셔의 자금상 판권은 무기한으로 썩혀둘거 같은데... 아쉬울 뿐이네요

    답글삭제
  6. (onesin)

    // 데이터 들어있는 컴퓨터에 콜라 엎어가지고 자료 없어져서 그랬다는데 왠지 농담같더군요 -_-.

    그래도 전 스토커 나온거 하면서 상당히 맘에 들었습니다.

    답글삭제
  7. TeamMaximuS / 스토커가 썩 좋지않은 게임성이요? 어떤부분이 그렇게 실망스러우셨어요? 지난 10년간 나온 FPS가운데서는 손에 꼽을만큼 뛰어난 게임이라고 생각하는데...^^;; 저는 요즘 나오는 FPS들이 스토커 반만 닮아도 좋겠습니다.



    Onesin / 영화 스토커도 필름현상이 잘못돼서 처음부터 다시 찍었다고 하던데 게임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고 하니 무슨 스토커의 저주같은게 있나봅니다.^^;

    답글삭제
  8. 음?
    뭔가 떠먹여 주는듯한 퀘스트 시스템에 일직선 스러운 게임성 빈약한 자유도 이외 여러가지 이유등
    가루가 되도록 까실줄 알았는데 상당히 의외네요. 제가 봤을때 이게임이 일반FPS 게임 장르로 분류해 봤을때 그 게임성의 구조틀 즉 뼈대는 훌륭하지만 롤플레잉 으로 왔을때는 상당히 모자란 부분이 많은것 같아요. 그래서 제 생각으로는 게임의 성격이 이도 저도 아니라고 생각이 되네요.
    마지막으로 강조하듯 스토커가 괜찮다고 하신 말씀에 저는 좀 놀라기도 했어요

    답글삭제
  9. TeamMaximuS / RPG로 보면야 형편없는 게임이죠.^^;; 근데 스토커는 FPS에 RPG적 요소가 첨가된 게임이니까요. 그런 게임에 제대로된 퀘스트구조와 형식을 바랄수는 없죠. 만약 그랬다면 미친듯한 명작이 되었겠죠. 제가 막 RPG의 미래라며 노래를 불렀겠죠. 하나라도 잘했으면 그걸로 봐줘야 한다고 봅니다. 던전RPG에서 퀘스트 구리다고 욕하면 안되는것처럼요. 폴아웃3같은건 FPS로도 RPG로도 실패한 게임이니까 좋게 봐줄수가 없는거구요.

    답글삭제
  10. 외국 비평가가 게임 스토커랑 영화 스토커를 비교 비평한 게 있던데요.

    http://www.nybooks.com/blogs/nyrblog/2012/may/01/zone-chernobyl-tarkovsky-video-game/

    스토커는 미국 게임이 특징으로 하는 미국 예외주의와는 다르다...는 마지막 부분은 왠지 폴아웃 3를 두고 하는 말 같네요;

    답글삭제
  11. 익명 / 쭉 읽어봤는데 영화 스토커랑 연결지으려는게 좀 무리수 같아요.^^; 게임의 시뮬레이션적 요소에 쓸데없이 커다란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플레이어가 특별하지 않고 다만 거기 있을뿐이라는건 시뮬레이션성이 강한 게임은 전부 그렇죠.^^;; 그걸 미국 예외주의랑 엮는건 심한 억지같아요. 예전 미국 PC게임들도 다 그런면을 가지고 있었거든요. 그냥 요즘 게임들이 지나치게 플레이어를 떠먹여 주는것 뿐이고 스토커는 그와다르게 예전 PC게임 스타일을 어느정도 가진 게임일 뿐입니다. 글쓴 사람이 예전 미국 게임은 안해본거 같아요.

    답글삭제
  12. 스토커는 저한테는 차세대fps 시작점으로 보는 게임인데 차기작이 언제쯤 나올련지 상당히 기다려지는 게임입니다. 제발 듀크뉴켐포에버 꼴만 안났으면 ㅠㅠ

    답글삭제
  13. 익명// 차기작 프로젝트는 취소되었습니다. 개발진은 퇴사하고 새로 회사 만들어서 Survarium이라는 MMOFPS 만들고 있습니다

    http://survarium.com/en/

    답글삭제
  14. 이럴수가 개발취소 되었나요? 아 앙대.. 이게 무슨소리 개발취소라니 이보시오 개발자 양반! 아읅..

    답글삭제
  15. 스토커 1편은 끝내고 간단하게 정리좀 해봤는데, 의견 교환을 부탁드립니다. 스토커 역시 언젠가는 이 블로그에서 리뷰를 봐야 하는 글이니 맛보기용으로ㅋㅋ

    (닉네임 클릭하면 해당페이지로 넘어갑니다)

    답글삭제
  16. 스탠리 패러블이 떠오르네요

    답글삭제
    답글
    1. 어렸을때는 내가 나중에 크면 이러이러한 게임을 만들어야지ㅎㅎ 하고 있으면 몇개월 후쯤엔 그런 비슷한 게임이 나오곤 했어요. 스탠리 패러블을 해보니까 마치 그시절이 돌아온것 같은 느낌이라 감격스럽더군요.

      삭제